필자의 말

  어 표현, 특히 조동사 표현이 어려운 까닭은 영어 자체가 계속 변화하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다른 점은 발음만이 아니라 문법도 해당한다. 과거에는 확실히 구별해서 사용하던 유사한 뜻에 대한 표현들을 점점 구별하지 않게 되거나 하면서 하나의 표현이 여러 가지 뜻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원래는 여기에 쓰는 표현이 아니지만 허용한다.”고 보면 될 듯싶다. 그래서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영국식 영어의 경우 이것과 저것의 표현을 확실하게 구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식 영어의 경우 이것도 맞고 저것도 맞는 것 같으면 둘 다 맞는 경우가 많다. 필자의 표현을 교정해준 사람들은 뉴질랜드와 아일랜드 출신으로 그들은 거의 정확한 영국식 영어를 구사한다. 따라서 필자의 글 또한 영국식 영어를 기준으로 되어있다는 점을 기억해 두길 바란다.

2. 추측표현의 과거, 현재와 미래

  추측 표현의 과거 현재와 미래는 생각보다 헛갈리기 쉬운데 그 이유는 추측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조동사들인 might나 could가 그 단어 하나만 놓고 볼 때 현재형이 아니라 과거형의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추측이나 불확실성 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로 하여금 말할 때마다 시제를 어떻게 써야 할 지 헛갈리게 만든다. 표현들을 간단히 정리하기 위해 아래 그림을 보자.(클릭해서 확대하시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간단히 정리한다고 했는데 안 간단할 지도 모르겠다.(음...) 그림은 크게 조동사(modals)를 사용한 표현과 부사(adverbs)를 사용한 표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조동사 표현은 말하는 사람이 내용에 대해 얼마나 확신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또한 그 어느 시점에 관한 추측인가에 따라서 구분해놓았다. 이번에는 확신성을 기준으로 시제 순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1) 100% 확신, 기정사실의 경우

  헛갈릴 필요 없다. 100% 확신하는 내용은 우리가 늘 하는 일반 서술이다. “그랬어.”, “할 거야.” 단정 짓듯이 과거, 현재, 미래의 표현을 하면 그만이다.

ex) She was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었어.

2) 95% 확신의 경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임에 틀림없어.”에 해당하는 경우다. 이 “틀림없다.”를 표현하는 조동사가 바로 must다. “아님에 틀림없다.”는 당연히 mustn't, 즉 must not이면 그만이다. must의 경우 명령과 확신 모두에 쓰이기 때문에 마스터하지 못 하면 해석할 때는 문맥에 따라 적당히 맞춰 넘어가기 쉬워도 말할 때는 제대로 못 해서 우물거릴 경우가 많다. 현재에 대한 확신을 말할 때 must에는 be동사가 이어진다. 상태표현인 be가 아니라 행위 표현인 do, 즉 현재의 행위에 대한 추측은 당연히 지금 하고 있는 행위니까 must be ~ing, “~하고 있음에 틀림없어.”가 되는 것. 주의하자. 현재 표현에서 must do를 쓰면 지난 시간에 다룬 명령, 요구와 같은 절대적 필요성의 표현이 되어버린다.

ex) He must be sleeping now. 그는 지금 분명 자고 있을 거야.

ex) He must sleep now. 그는 지금 당장 자야 돼.

  확신을 뜻하는 must의 과거는 must have p.p.로 표현한다. should나 must와 같이 특정한 의미표현에 쓰이는 조동사들은 과거시제를 표현할 때 스스로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다음에 오는 동사가 현재완료(present perfect) 형태로 변한다는 것을 기억해두자.

ex) She must have been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었음에 틀림없어.

ex) He must have slept until just a few minutes ago. His hair is messy. 그는 조금 전까지 자다 나온 게 분명해. 머리가 엉망이잖아?

  미래에 대한 확신은 어떨까? 아쉽게도 must를 미래시제에 사용할 방법도, 대체할 조동사도 없다. 대신에 확실성을 나타내는 부사를 넣어서 “분명히, 아마도 ~ 할 것이다.” 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강한 확신을 나타내는 부사로는 definitely, probably가 있다.

ex) He definitely will sleep right after he gets home. 그는 분명 집에 가자마자 잘 거야.

3) 50% 확신의 경우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하지만 왠지 그럴 것도 같은, 굳이 말하자면 “일 수 있겠지.”, “일 지도 몰라.”와 같은 가장 일반적인 추측과 예상의 표현이다. 여기에 쓰는 조동사는 may, might, could이다. might는 조동사 may의 과거형, could는 can의 과거형이라 시제가 헛갈릴 수도 있는데, 간단히 말해 may, might, could 셋 다 현재의 불확실성을 뜻한다. 다만, 본래 might가 may보다, could가 might보다 조금 더 불확실한 의미가 담긴 표현이라는 점은 기억해 두자. 아무튼 아래 셋은 거의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ex) He may know. / He might know. / He could know. 그가 알지도 몰라.

ex) She may be a teacher. / She might be a teacher. / She could be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일지도 몰라.

  당연한 얘기지만, 현재 행동에 대한 추측은 대화상대인 you에게는 쓰지 않는다. 당장 눈앞에 있는 사람의 행동은 뻔히 보고 있는 것이니까. 이러한 추측표현의 과거 역시 have p.p.를 붙여주면 된다.

ex) She may have gotten lost. / She might have gottten lost. / She could have gotten lost. 그녀는 길을 잃었던 것일 지도 몰라.

  다만 여기서 주의할 것은, 본래 may와 might의 확실성에 차이가 있듯, may have p.p.와 might have p.p. 역시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문맥에 따라서, 혹은 구어와 문어에 따라서 아직까지도 분명하다는 것이다. oxford에 따르면 may have p.p.는 사건이 과거에 일어났는지 일어나지 않았는지 잘 모를 경우에 사용하는 일반 추측이고, might have p.p.는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해서 그렇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할 때나(흔히 말하는 가정법 과거) 과거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었으나 일어나지 않은 경우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고 분명히 구분되어 있다. 이처럼 가정법 과거나 과거의 실패한 가능성을 말할 때에는 무조건 might have p.p.를 사용해야 하며 이는 may have p.p.로 대체될 수 없다. 아래 두 번째의 표현이 이에 해당한다. (차후에 가정표현을 다루면서 다시 보도록 하자.)

ex) Two people may have drowned in the accident. 그 사고로 두 사람이 익사했을 수도 있다.(추측. 익사 여부를 아직 모름.)

ex) Two people might have drowned in the accident. 그 사고로 두 사람이 익사할 뻔 했다. (익사하지 않았음을 알고 있음.)

  일반 추측의 미래 표현은 may와 might를 그대로 쓴다. 왜냐, 미래란 불확실성이고 추측은 그 자체로 불확실성이니까.

ex) It may rain tomorrow. / It might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지도 몰라.

4) 5% 확신의 경우

  5% 확신이란 말이 5% 확신이지 결국 아닐 거라는 얘기이다. “그럴 리 없어.”에 해당하는 표현이라고 하겠다. 매우 단순하다. can't가 이에 해당한다. can't 역시 must처럼 do와 같은 행위 동사를 현재 추측으로 쓸 수 없는데

ex) She can't be a teacher. 그녀가 선생일 리 없어.

  과거 표현의 경우 절대 couldn't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자. 과거에 대한 강한 부정의 추측, 즉 “~이었을 리가 없어.”은 can't have p.p.로 표현한다.

ex) She can't have been happy to hear that. 그 얘길 듣고 그녀가 좋아했을 리가 없어!

  미래에 대한 부정적 확신 역시 딱히 쓸 수 있는 조동사가 없다. 이때도 미래에 대한 확신 표현과 마찬가지로 부사를 쓰는데, “거의 ~아닐 것이다.”, “~할 것 같지 않다.”의 뜻을 가진 부사 unlikely 를 사용하면 된다.

ex) He's unlikely to find out the treasure. 그가 보물을 찾아낼 것 같지는 않아.

ex) I'm sorry to tell you this but, she's unlikely to recover. 안됐지만, 그녀는 회복될 것 같지 않아.

5) 0% 확신, 즉 아닌 사실에 대한 경우

  아닌 건 아닌 거다. 100%의 경우처럼 이번에는 아니라고 딱 단정해서 말하면 그만이다.

ex) She was not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 아니었어.

6) 부사를 이용한 표현들

  조동사가 아니라 부사를 이용해서 표현할 경우 표현이 매우 단순해진다. 쉬워서 말로 써먹기 쉽다. 그림에 예로 든 maybe, perhaps, possibly, likely 같은 부사를 넣고 문장만 완성시키면 된다. maybe, perhaps와 같은 부사는 말 그대로 ‘아마도’ 수준의 중립적인 표현인 반면에 possibly, likely 같은 부사는 그보다 높은 가능성을 나타내며 보다 강한 확신을 나타내고 싶으면 앞에 very와 같은 수식어를 넣어 강조할 수도 있다.

ex) Maybe he is the man who you're looking for. 그가 네가 찾는 사람일지도 몰라.

ex) Perhaps I spoke too soon about our project. 우리 프로젝트에 대해서 너무 빨리 말한 걸지도 모르겠다.

ex) Global warming is very likely to have a human cause. 지구 온난화는 사람 탓일 가능성이 높지.

  역시나 쓰면서 공부한다고 쓰는 동안 잊었던 것을 다시 떠올리고, 잘못 알고 있던 부분은 또 정정하게 된다. 아무래도 이 연재를 통해 가장 이득을 보는 것은 필자 자신인 듯하다. 다음 회에는 말 나온 김에 3절에서 나온 가정표현을 써볼까 한다.

,
시작하며

  글을 쓰는 필자 역시 조동사 표현을 정확하게 교정받은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았고, 머리로는 다 알고 있지만 실제 사용하면서도 틀릴 때가 있어서 이에 대해 아직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바보다.) 사실 이 시리즈를 쓰려는 의도 또한 스스로 배운 바를 복습하고 다시 점검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러나 비록 쓰는 내가 완벽하지 못할 지라도 내용이 잘못된 것은 결코 아니다. 이 표현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학교나 학원에서 배울 때 뚜렷하게 구분지어 사용하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아, 그 결과 한국어로는 비슷한 의미니까 해석은 해도, 말할 때는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던 것들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의미가 얼마나 강한지, 화자가 말할 자격이 있는지 등의 문제가 얽혀있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부족한 필자의 역량을 지적해주고 일일이 교정해준 Urs에게 감사하며 조언과 명령의 조동사의 용법에 대해 간략히 써보고자 한다. 마스터해서, 주뼛거리지 말고 확실하게 말하며 살자.

1. 필요와 조언의 표현 (그림을 클릭해서 확대하시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은 필요와 조언의 표현에 쓰이는 조동사 표현들을 그 의미의 세기와 특징으로 구별한 것이다. 혹시 알기 쉽지 않다면 이어지는 내용을 참고하시라. 위 구분에 따라서 긍정표현에서 부정표현으로, 약한 것에서 강한 것으로 가는 순서를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1) should
  should는 단순한 조언의 표현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하는 것이 좋은데 반드시 할 필요는 없는 것. 그래도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것. 이러한 것을 말할 때 쓰는 것이 should이다. 따라서should는 '개인적인 생각이나 의견'을 말할 때를 위주로 쓰인다. "하는 게 어때?", "하는 편이 좋아." 라는 감각으로 사용하자. 의문문으로 사용할 때는 "(꼭) ~ 해야 되냐?" 라는 뜻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ex) You should wear a leather jacket when you ride a motorcycle. It looks nice and keeps you warm. 오토바이 탈 때는 가죽재킷을 입는 게 좋아. 멋있고 따뜻하니까.

2) had better
  had better도 should와 같이 조언의 표현이지만 should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had better는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견해가 바탕에 깔린 표현이며, 보다 강하고, 굳이 문장에 넣어서 표현해 줄 필요는 없지만, 그 뒤에 "or else", 즉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될 거야."의 의미가 뒤따른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약한 경고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ex) (손가락 한 마디가 잘린 상황을 가정했을 때) You had better pick it up and go to the nearest hospital right now. (or else you lose your finger.) 얼른 손가락 집어서 가까운 병원으로 가.(안 그러면 영영 손가락 없이 살아야 될 거야.)

ex) You'd better go home now or your girlfriend will leave you forever. 빨리 집에 안 가면 그녀가 영영 떠나버릴 걸.

3) must와 have to
  must와 have to는 절대적 필요성, 예외 없이 반드시 해야하는 것의 표현이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의미의 차이가 희석되는 경향이 있는데, must와 have to는 본래 말하는 사람이 듣는 상대에게 "해야 한다."라고 말할 자격, 즉 권위가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를 갖고 있다. 즉, mus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듣는 사람에게 그렇게 하도록 요구할 자격이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must의 표현은 order, 즉 명령이다. 그에 비해 have to는 단순히 꼭 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have to를 써야 하는 상황에서 must를 쓸 경우 어색하거나 무례한 표현이 된다. 예를 들어 당신이 아이의 엄마라면 아이한테 "You must wake up early!" 라고 말할 수 있지만 비즈니스 파트너에게 "you must 어쩌구..."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참고로 필자는 S모 통신업체의 must have 어쩌구가 거북하다. 당신이 나한테 뭔데 이래라 저래라...) 예를 조금 더 살펴보자.

ex) (여행 입국에 관한 사정을 가정했을 때, 만약 당신이 뉴질랜드 입국사무소의 직원이라면) You must have a visa  to enter our country. 우리나라 들어오려면 비자가 필요합니다.

ex) (위 상황에서 여행사의 직원이라면) You have to have a visa to enter New Zealand. 뉴질랜드에 입국하려면 비자가 필요합니다.

4) don't have to
  드디어 부정적 표현의 차례다. don't have to는 must와 have to의 표현이 갖는 '필요성'에 대한 부정이다. 따라서 don't have to는 must, have to 양자 모두의 반대 표현으로 쓰이며 "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안 해도 돼.", "꼭 할 필요는 없어." 와 같은 말을 하고 싶을 때 don't have to를 쓰자.

ex) You don't have to wear a leather jacket when you ride a motorcycle. 오토바이 탈 때 꼭 가죽재킷을 입을 필요는 없어.

ex) Korean visitors don't have to apply for a visa to enter Japan. 한국 사람이면 일본 갈 때 비자를 안 받아도 돼.

5) shouldn't
  shouldn't는 정확히 should의 반대의 뜻을 갖고 있다. "하지 않는 편이 좋아."의 느낌으로 사용하자. had better의 경우도 부정적 의미를 쓸 때는 had better not ~ 을 쓸 수도 있지만, 그냥 shouldn't 를 써도 된다. shouldn't와 had better not의 구분의 경우에는 native speaker들도 지역에 따라, 사람에 따라 각자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데, 필자가 배운 바, 그리고 여러 ESL관련 자료를 검토한 바에 따르면 어차피 하지 말라는 소리는 같으니까 shouldn't를 쓰는데, 굳이 '안 그러면~'을 강조하고 싶은 경우에 한해서 had better not을 쓴다는 것이다.

ex) You shouldn't leave your dog alone in your home. 집에 개를 혼자 두지 마.

6) must not과 can't, not allowed to
  must not은 필요성에 대한 부정이 아니라 '하지 않을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즉 금지, 명령에 해당하고 역시 말 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금지할 권위나 자격이 필요하다. "하지 마.", "하지 말아야 해."와 같은 느낌으로 사용한다. 한편, 말하는 사람 자신이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무언가에 의해 요구되는 것을 상대에게 말하는 것인 have to의 반대, 즉 다른 이에 의해 금지되거나 하지 않도록 요구되는 것을 상대에게 말할 때에는 can't와 not allowed to를 사용한다. "그렇게 못 해.", "그렇게 안 돼.", "할 수 없어." 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ex) (엄마가) You must not wake up late. 늦게 일어나지 마.

ex) (입국사무소 직원이) You must not bring in any kind of guns or drugs. 총이나 마약류를 가지고 오면 안 됩니다.

ex) (여행사 직원이) You can't enter New Zealand without a visa. 비자 없이 뉴질랜드에 못들어갑니다.

7) 필요와 조언의 과거 표현.
  간단히 말해, "했어야 해.", "하지 말았어야 해." 와 같은 과거의 조언은 결국 일어나지 않은 사실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표현인 셈이다. 이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은 should have p.p와 shouldn't have p.p로 통일되어 있다. 이는 현재형처럼 의미의 세기나 권위 여부에 따라서 세세히 분류되지 않는다. 왜냐? 어차피 과거에 대한 조언이란 사실이 아니라 가정일 뿐이니까. 주의하자. must have p.p는 "~했음에 틀림 없어." 라는 과거에 대한 강한 추측의 표현이다. 또한 had to는 "해야만 했다." 라는 이미 일어난 사실에 대한 서술로 조언의 과거표현과는 전혀 다른 의미가 된다.

ex) You should have done your homework yesterday. 넌 어제 숙제를 끝냈어야 했어.

ex) You shouldn't have met her again after you dumped her. 그녀를 차놓고선 다시 만나지 말았어야 했어.

다음 회에는 추측 표현의 현재와 과거, 미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사정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
,
(This article may have several grammartical errors and typos. :p)

  
There're too many online dictionaries and I think they make you so confused especially when you are looking for the one proper meaning for each expression. However, unfortunately there's no perfect dictionary and, that's why I want to introduce you these dictionary web-sites which I think the best online dictionaries. First, Here's "One Look.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It actually is not a dictionary by itself but, it searchs every inputted word in several - at least five well-known - online dictionaries and shows the result. It'll help you compare the explanations to find out the exact meaning and the easiest definition to get. That's really comfortable.

사용자 삽입 이미지
  If you have experiences of failure to find out good English expressions for your idea and intention, I recommend you use "ET-house.com." I bet this is the best Korean-English dictionary in the world. And, because it has various expressions and examples, you can learn and use them quickly!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d there're a lot of expressions that are not in normal dictionaries, like slang or the newest internet idioms. Do you know what "rofl" mean? Have you got some e-mails filled with some broken English words? "Urban Dictionary.com" is really useful for learning slang and common expressions which are not formal English.

사용자 삽입 이미지
   How about phrasal verbs? Phrasal verbs are used frequently in common as they're really simple. But, there're too many phrasal verbs so, it is not easy to master the whole. Try to access to "Phrasal Verb Demon.com." It supports users with a phrasal verb dictionary and a very strong phrasal verb search engine. And there're also good study materials like quizzes, games and readings.

   These dictonary web-sites are really helpful, and I also use whenever I have something to do in English. Try them and enjoy your English study. If you know other good dictionary web-sites, please leave a comment and let other people know.
,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vember 7, Lee Hoe-Chang officially announced his entrance into the race for president. He was the head of the Hannara party from 1997 to 2002, and he quit Hannara party for his third challenge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Hannara party is blaming Lee Hoe-Chang furiously because it is obvious that he must take a lot of supporters of Lee Myoung-Bak, the current candidate of Hannara party.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formed right after Lee Hoe-Chang's candidacy, Lee Hoe-Chang gained almost 20 percent of the support rate, and Lee Myoung-Bak's support rate dramatically dropped more than 10 percent for the first time. Lee Hoe-Chang is well-known for his extreme conservatism, so now the presidential race became the battle of the two conservatives and is called "Lee-War."

사용자 삽입 이미지
   It is a ludicrous situation that such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supporting Lee Hoe-Chang. One of the main reasons why he failed two times was his corruption, but now it seems many Koreans already forgot that. His election campaign is also ridiculous. At first, he started to gather conservative people's support by visiting extreme conservative groups like the veteran's association. Actually, Korea's veteran's association is almost the same place with a nursing home for senior citizens, but only one difference is the members really want to believe that they purely contributed to the democracy of Korea or Vietnam. And then, he criticized Lee Myoung-Bak that Lee Myoung-Bak's policies are not conservative "enough to change this society." Finally, he blamed the current government that is communist, and the communist has spoiled this country since 1997, when his first presidential candidacy failed. Surely, the current governmen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communist regime, and Korea-U.S. FTA is a good example of how far it is away from communists. But, it was terribly effective to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amnesia." Anyway, as the result of his election campaign, he gets the full support from the elderly and people in their fifties, especially from Gyeongsang-do where is well-known for the home-ground of the conservatives such as Texas.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 spite of all the efforts of the current government, the conservatives succeeded to keep its corrupted interests with some conglomerates and social groups. Some people say that the corruption is not important if the conservatives can make them rich, and under this atmosphere, Hannara party has kept its lead in this race since the beginning. However, now it is faced the strongest challenge ever from inside of itself. It would be a good chance for the other parties. But, as far as people think their wealth is more important than social justice, it is difficult to end the old corruption of this society.
,